오늘은 3개 남은 영남알프스 8봉 완등을 마무리하기 위해서 아침 일찍 배낭을 챙겨 집을 나섰다. 최근에 기온이 올라서 눈이 없을 거 같긴 했지만 겨울산은 예상외로 눈이 늦게까지 녹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도 많아서 아이젠괴 스패츠를 챙기고 핫팩과 따뜻한 물도 챙겼다.
서대전네거리 근처 gs25 대전국일점 앞에서 버스를 타기 위해 집에서 4시 30분에 출발했다.
한국의산하에서 신불산, 영축산, 간월산에 대한 내용을 발췌해서 아래에 소개해본다.

오늘 산행경로는 이래와 같다.
*들머리: 배내고개 휴게실(울산 울주군 상북면 배내
              무등골길2)  
*날머리: 신불산폭포 자연휴양림(울산 울주군 상북면
               청수골길 175)

지산마을 만남의광장 8:40
취서산장 10:10
영축산 11:00
신불재 12:00
신불산 12:40
점심식사
간월재
간월산 14:45
배내봉 16:05
배내고개 주차장 17:00

산행시간:12.7km 8시간(이동6시간 휴식2시간)
http://rblr.co/ooJaD

영남알프스 3차 영축산 신불산 간월산

활동 : 등산/하이킹 | 소요 시간 : 8h 14m 1s | 거리 : 12.7 km (7.9 mi) | 총 획득고도 : 1465 m (4,806 ft) | 최고점 : 1197 m (3,927 ft) | 평균 속도 : 2.1 km/h (1.3 mi/h)

www.ramblr.com

대전에서 세 시간 남짓 걸려서 지산마을 만남의 광장에 도착했다. 간단하게 정비를 하고 출발을 했는데 주위에 매화가 피어있다는 말에 얼른 가서 매화를 구경할 수 있었다. 2월 중순이지만 날씨가 따뜻해서 매화가 탐스럽게 핀 것을 보니 이제 곧 따뜻한 봄이 남쪽으로부터 서서히 찾아오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근처 통도사에도 벌써 홍매화가 피었다고 얘기를 들어서 가보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았지만 일행이 있었기에 아쉬운 마음을 뒤로한 채 마을길을 따라서 걷기 시작했다.

근처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자주 방문하시는 평산책방이 있으니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방문해도 좋을듯하다. 마을길을 따라 조금 지나가면 산길로 들어가는 문이 보이는데 오른편에는 공사를 하는 중인지 넓은 터에 작은 암자가 남아있었는데  파란 하늘과 하얀 구름 아래 고즈넉한 정취를 자아내고 있었다. 보이는 작은 문으로 들어가면 커다란 소나무가 울창한 숲길을 맞이하게 된다.

한 시간 넘게 오르막을 오르면 취서산장이라는 옛 산장터에 터만 남은 채로 한편에 의자를 마련해서 막걸리, 라면, 두부김치 등을 파는 곳이 있는데 주위 조망이 근사하니 막걸리 한잔하고 가는 것도 좋다.

막걸리 한잔과 두부김치로 잠시 허기를 달래고 얼마 남지 않은 오르막을 오르기 시작했다. 영축산 능선에 가까워지자 바닥에 눈이 얼어서 얼음이 된 상태로 아직 녹지 않아서 미끄러웠다. 힘을 내서 앞에 보이는 커다란 바위를 뒤로 밀어내며 능선에 오르니 멀리 정상석 인증을 하려고 줄을 서 있는 형형색색의 옷을 입은 등산객이 보였다.

영남알프스 완등인증 앱을 켜고 인증을 하고 신불재로 발걸음을 돌렸다. 신불산 가는 길은 눈이 녹아 진흙이 잔뜩 있는 길이 많아서 미끄럽기도 하고 흙탕물이 튀어서 옷도 더러워지고 해서 주위경치는 좋았지만 얼른 지라가야겠다는 마음이 앞섰다.

신불재까지는 내리막이라서 길은 좋지 않았지만 그렇게 힘이 들지는 않았는데 신불재를 지나서 신불산 오르는 길은 다소 경사가 있는 오르막이라 힘이 들었다.

오르막을 한참 올라 드디어 신불산 정상에 도착했다. 여기도 인증을 하려는 사람들로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지만 좀 쉬어갈 요량으로 줄을 서서 인증사진을 찍었다.
신불산 정상에는 바람이 꽤 불고 있어 겉옷을 입은 후에 정상 부근 데크에 자리를 잡고 점심식사를 했다. 추울 때는 역시 따뜻한 국물이 제격인지라 가져온 사발면과 산우분들이 끓인 라면을 먹고 나니 몸이 따뜻해졌다. 독주 한잔을 자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지만 신기하게도 술을 가져온 분이 한분도 없어서 좀 아쉬윘다.

식사를 마치고 나니 날씨가 갑자기 험해져서 빨리 이동을 시작했다. 눈과 비가 섞여서 내리고 차가운 바람도 세차게 불고 산안개가 자욱하게 끼어서 저만치 주위에는  뭐가 있는지도 분간하기가 힘들었다. 뿌연 안갯속을 비바람을 헤치며 한 시간을 넘게 걸었을까 영남알프스 8봉 완등의 마지막 봉우리인 간월산에 도착했다.
인증을 하고 나서 인증서 요청을 하고 나서 인증서가 발급된 후에 보니 14154 번째 완등이었다. 작년 고헌산을 시작으로 해서 영남알프스 8봉 완등을 마무리하고 보니 나름 뿌듯했다.

날씨가 더 나빠져서 날머리인 배내재로 가는 걸음을 재촉했다.

배내봉을 지나 한참을 내려오다보니 내리막길 계단이 보이고 좀 가다보니 작은 샘에서 물이 졸졸 흘러나오고 있었다. 차를 타기전에 진흙으로 범벅이 된 등산화와 스패츠를 씻고 스틱도 씻은 후에 정비를 하고 조금 더 내려가다보니 도로가 보였다.

영남알프스 8봉 완등과 함께 새벽 네시반부터의 길었던 오늘 여정을 드디어 마무리 하며 대전으로 향하는 버스에 피곤한 몸을 실었다.

Posted by prologuex
,

오늘은 청춘산악회에서 영남알프스 1치를 시작하는 날이다. 고헌산을 갔다가 버스로 얼음골 케이블카 승강장으로 이동해서 상부까지 케이블카를 타고 이동한 후에 천황산, 제약산을 갔다가 와서 다시 케이블카를 이용해서 하산할 계획이다. 아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수록된 소개글이다.

운문산

가지산

등산경로는
천황&재약 들머리:얼음골 케이블카(경남 밀양시 산내면 얼음골로 241)>원점회귀
*고헌산 들머리:(경북 경주시 산내면 대현리 산 329-1)>원점회귀
천황&재약: 케이블카 상부승강장>천황산>천황재>재약산>천황재>샘물상회>케이블카 상부승강장
고헌산:외항재>고헌산정상>외항재
주말에는 얼음골케이블카 대기시간이 한두시간 되니까 미리 예매를 해놓고 가기 바란다. 우리는 아침9시쯤에 12시30분 케이블카 예매를 했다.
우선 고헌산을 가기위해 좁은 이차선 도로가에 버스를 세우고 장비를 정비하고 9시13분에 등산을 시작했다.
날이 따뜻한 탓에 눈이 녹아서 흙이 질퍽질퍽해서 미끄럽고 진흙때문에 스패츠와 등산화가 금새 더러워졌다.  질퍽거리는 흙길때문에 올라가는 길이 여기저기 갈라지다가 합쳐지기를 여러번 빈복했는데 어느정도 높이로 올라가보니 바닥이 얼어있고 주위 나무에도 눈이 하얗게 쌓여있었다. 조금 더 오르니 주위는 완전 겨울왕국으로 변해 있었다.

주위 경치에 감탄하며 서서히 오르다보니 갑자기 바람이 매섭게 변해서 벗어두었던 바람막이를 입고 모자를 눌러썼다. 좀 지나니 평지가 나오고 바람이 더 세차거 불어오기 시작했는데 산 반대쪽에서 넘어올다오는 눈바람이었다. 매서운 바람을 헤치고 정상석에서 인증사진을 찍고나니 10시 30분을 넘어서고 있었다. 우리일행은 매서운 칼바람을 뒤로하고 천황산에 가기위해 하산을 시작했다.

하산을 완료하고 도로에서 조금 걸어내려가다보니 도로 옆에 배수로가 있어서 진흙에 더러워진 아이젠을 벗어서 씻고 등산화와 스틱에 묻은 진흙도 깨끗하게 물로 씻었다.
장비를 씻고 아침에 고헌산에 오르기전에 미리 예매해놓은 얼음골 케이블카를 타기위해 버스에 타고보니 어느새 시간이 12시를 넘어서고 있었다.
얼음골케이블카는 자연훼손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왕복으로만 표를 끊을 수 있다는데 잘 이해가 가지는 않았다.
케이블카는 정원이 50명이며 요금은 성인 왕복 16000원이며 삼부까지 10분정도 소요된다. 하부 케이블카 하부지점에는 주차장이 있지만 협소하고 버스는 주차할수가 없다. 매점과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어 케이블카를 기다리면서 간단한 요기를 할 수 있다.
케이블카를 타고 가면서 360도로 보이는 경관도 장관이었다. 중간쯤에 있는 엄청나게 넢은 지지대를 지나자 곧 상부터미널에 도착했다.


상부터미널은 아랫쪽과는 달리 완전 딴세상이었다. 온통 하았게 눈을로 덮여있었고 나무로 만든 데크길마저도 바닥에는 쌓인 눈이 얼어붙어 있었다. 데크길은 눈을로 덮인 철쭉터널이 지나가는 사람들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하고 있었다.

천황산까지는 평평한 능선길이 계속되어 힘들지는 않았다. 겨울왕국을 즐기며 걷다보니 어느새 천황산에 도달하였는데  시간이 1시50분이  되어가고 있었다. 천황산을 지나 내리막길을 좀 내려가다보면 천황재에 다다랐는데 에기부터 제약산까지는 오르막이 시작되었다.
2시40분이 되어서야 제약산 젱상에 다다랐다. 제약산 정상석을 솟아오른 바위사이에 있어서 사진찍는 사람들로 발디딜틈이 없어서 옆에서 인증사진만 찍고 바위아래로 내려왔다.

제약산 인증을 마치고 내려오는 길에 멋스러운 소나무 아래에서 점심식사를 했다. 눈으로 뒤덮인 나무가 바람을 막아주어서 흡사 텐트안에 들어와 있는 듯 춥지 않았다.
  밥을 먹고나서 다시 하얀 눈세상을 실컷 구경하면서 올라왔던 길로 되돌아 하산을 서둘렀다.
4시10분 쯤 케이블카 승강장에 도착해서 보니 먼저 출발한 선두팀이 표를 끊어 놓아서 5시 정도에 케이블카로 하산을 할 수 있었다. 케이블카를 기다리는 동안에 눈시람도 만들고 눈싸움도 하면서 잠시 나이를 잊고 동심으로 돌아가 즐겁게 눈과함께 추억을 만들었다.


렘블러로 기록한 정보중에 일시정지를 하지 않아서 포함되어 있는 고현산에서 어음골 케이블카까지 차로 이동.케이블카로 천황산 이동 23.6 km 제외해야한다.

Posted by prologuex
,

오늘은 영남알프스 8개 산중에 두번째 가지산, 운문산을 가는 날이다. 1차는 고헌산, 천황산, 제약산 을 이미 다녀왔고 3차는 신불산, 영축산, 간월산을 다녀오면 영남알프스 코스가 마무리된다.
서대전 사거리 근처에 gs25 대전 국일점에서 6시35분에 버스를 탑승하기로 하여 5시50분 쯤 집에서 자차로 출발하였는데 가는 충에 산악회 리더가 시간이 15분 앞당겨젔다고 전화가 와서 좀 서둘러서 가서 근처 모텔이 많은 곳 골목에 주차를 했다. 나중에 보니 도로 건너편이 흰선이라 가장자리에 주차를 하는게 좋아 보였다.
버스를 타고 중간에 나가려던 IC가 통제되어서 서울산IC로 나가서 10분 정도 시간이 지체되었다.
산행 들머리에 도착하니 9시가 거의 다 되었다.
오늘 산행경로는 석남터널  중봉 가지산 정상 아랫재 운문산 아랫재 삼양리 마을회관 까지 13km 정도 꽤 긴 길이다.
석남터널로 가는  갓길에 주차해놓은 차량이 많아 대형버스가 주차할 공간이 없어서 비어있는 곳에 정차를 하고 베낭과 이이젠 스틱 등을 챙긴 후에 빨리 내려서 석남터널 옆에 있는 들머리로 이동했다.
그동안 추웠던 날씨가 어느정도 풀려서 영상인지라 나뭇가지에 얼어있던 눈이 그새 물로 바뀌어 맺혀 있었고 주위의 큰 나무에서 눈물이 뚝뚝 떨어졌다.
오르막길이 경사가 조금 있고 나무 계단과 돌로 만든 계단이 연속으로 나와서 시작한지 얼마가지 않았는데도 숨이 찼다.
오르막이 계속 있어서 그런지 조금 지나자 주위에 눈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했다.

얼마나 지났을까 주위는 온통 하얀 눈세상으로 변해 있었다. 오르막길이 잠시 없어지고 잠깐 평탄한 곳이 보이는 곳에 간이 매점이 있었다. 아이젠 대여도 하고 간단한 음식도 파는것 같았다. 그 앞에는 622계단이 있었다. 계단을 다 오르고 나서도 한참 오르막이 계속 되었는데 정상까지는 쉬지 않고 가면 1시간30분 정도 걸릴것 같다. 중간에 일행을 기다리는라 지쩨한 시간이 있어 1시간 50분 정도 걸렸다.

정상석에는 사진촬영을 하기위해서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었다. 한글로 된 커다란 정상석과 조금 옆에는 태극기와 함께 있는 한차로 된 정상석이 있었다.
블랙야크 100대명산 인증과 영남알프스 종주 인증을 하고 일행을 기다렸다가 운문산으로 가기위해 아랫재를 향해 11시쯤 출발했다.
정상 바로 아래에는 산장이 있어 라면을 조리해서 팔고 있다.

내리막길이 꽤 길어서 중간에 바람이 없는곳에서 점심을 먹고 한참을 또 지나서 1시30분이 다 되어 아랫재에 도착했는데 날이 따뜻하다보니 거의 다 와서부터는 온통 진흙길이었다.

운문산 정상을 갔다가 다시 아랫재로 와아하기 때문에 무거운 짐은 한켠에 다 내려놓고 출발했다. 운문산 정상까지는 진흙길과 계속된 오르막과의 싸움이었다. 긴 오르막을 쉬어가며 오르다보니 2시35분이 다 되어 운문산 정상에 오를 수 있었다. 오르는 도중에 119 대원들이 열명정도 운운산 정상에서 움직이지 못하는 등산객을 이송하기 위해 오르는 것을 보았다.안개가 잔뜩 껴서 정상까지 헬기가 뜨지 못하여 들것에 이송하기위해  오르고 있었다. 아랫재를 지나서 하산길에 헬기 소리가 엄청 시끄럽게 들렸는데 아랫재 근처에 도달하여 이송을 했으리라 짐작이 된다.

아랫재를 좀 지나서 아이젠을 벗고 한참을 지나서야 상양리 마을에 도달했다. 마을에 있는 개울에서 진훍에 더더워진 이이젠과 스틱 스패츠를 어느정도 씻고 버스가 기다리고 있는 삼양수퍼 앞 도로에 도착했다.
최근에 겨울산행치고는 꽤 길었던지라 버스에 타서 등산화를 벗고나니 발이 좀 아팠지만 마지막 남은 3차 영남알프스를 고대하며 대전으로 향했다.

http://rblr.co/oo6Lj

Posted by prologue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