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egloos.zum.com/program/v/802690
'컴퓨터 >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topas (0) | 2017.05.31 |
---|---|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aix topas (0) | 2017.05.31 |
---|---|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크론텝사용법 (0) | 2017.06.15 |
---|---|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aix topas (0) | 2017.05.31 |
---|---|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윈도우7 32비트 램디스크 사용하기 (0) | 2017.04.16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ot79486&logNo=40164598082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윈도우7 32비트 램디스크 사용하기 (0) | 2017.04.16 |
오라클정보1 (0) | 2017.04.13 |
http://bbs.3dpchip.com/kor/tip/468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윈도우7 32비트 램디스크 사용하기 (0) | 2017.04.16 |
오라클정보1 (0) | 2017.04.13 |
http://cappleblog.co.kr/555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오라클정보1 (0) | 2017.04.13 |
http://javaengine.tistory.com/40
오라클 시스템 테이블 (0) | 2017.05.29 |
---|---|
ls 파일갯수 새기외 여러가지 (0) | 2017.05.24 |
고스트 사용법 (0) | 2017.04.21 |
인텔 드라이버 (0) | 2017.04.19 |
윈도우7 32비트 램디스크 사용하기 (0) | 2017.04.16 |
shift + space 한영 전환
regedit 실행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i8042prt\Parameters 로 이동한 뒤
우측의 키값 항목을 확인합니다.
"LayerDriver KOR"="kbd101c.dll" (a를 c로만 변경합니다)
"OverrideKeyboardType"=dword: 8 (변경하지 않습니다)
"OverrideKeyboardSubtype"=dword: 5 (변경하지 않습니다.)
"OverrideKeyboardIdentifier"="PCAT_101CKEY" (변경하지않습니다)
수정한 후 리부팅을 합니다.
테스트한 결과 "한/영" 키와 Shift + Space 모두 작동된다.
요즘은 저장매체의 괴물화(?)로 컴퓨터 하드디스크 정리라던지 용량이라던지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것 같습니다. 제 경우에는 조금 오래된 SSD를 쓰고 있는지라 용량이 부족할 경우나 가끔 어떤 프로그램들이 쓸데없는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지, 폴더별로 어떤 프로그램이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지가 궁굼하더군요. 그럴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트리사이즈 treesize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다운로드는 제작사 홈페이지 http://www.jam-software.com/ 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프로페셔널 버전을 받으라고는 하지만 이 상태로도 기능의 제한이 있는 다른 여러 프로그램과는 달리 원활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행화면